BUSINESS SECTOR
- 모듈화 시공으로 증설 및 추가 설치 용이
- 농도센서를 이용하여 배출허용기준 초과 농도 사전 감지 및 내부 반송을 통한 재처리
- 제거효율 90% 이상 유지
- 강알칼리성 폐수 중화제로 황산 대신 CO₂ gas 사용으로 환경사고 위험성 저감 (화학물질관리법 규제 제외)
- 기계 조작방법이 간단하며, 자동 및 원격운전으로 유지 관리 편리
- 중화제로 황산사용 억제로 환경 위험성이 낮고, 사용 중 화제인 CO₂의 구입 및 보충이 용이함
- 황산 대비 저렴한 CO₂ 가스 사용으로 약품 사용 비용 절감
- 공장 일체형 모듈러 제작 및 현장 설치로 시공비용 절감
- 현장 여건별 대응이 가능하고, 복층 구조화 가능 설비로써 부지사용료 절감
- 2중(Impeller+Air) 교반을 통한 접촉효율 극대화
- 저온 CO₂ gas 주입을 통한 여름철 고수온 대응
이산화탄소 가스를 이용한 알칼리성 폐수 중화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알칼리성 폐수의 중화 처리 방법
폐수 배출허용기준을 청정지역 기준으로 하고, 2021년 1월 1일부터 시행된 생태독성 배출허용기준까지 고려한 안정적인 수질 확보
구분 | 규제기준 * (2,000 m3/d 이상) | 당사제안 |
---|---|---|
pH
|
5.8 ~8.6 | 5.8 ~8.6 |
SS(mg/L)
|
30 | 10 |
TOC(mg/L)
|
25 | 25 |
생태독성(TU)
|
1 | 1 |
* 규제기준 : 물환경보전법 시행규칙 [별표 13], 청정지역 기준
정기적인 방류수 수질검사 및 기계장비 검사를 시행(월1회)하여 정상적인 시설가동 상태 유지